728x90
반응형
SMALL
*[Linux] 폴더 용량 큰 순서대로 나열 명령어
- #du -ch (경로)
해당 경로에 대한 모든 파일용량의 총합을 나타냄. - #du -ch (경로) |sort -h
해당 경로에 있는 모든 파일과 폴더의 용량을 용량 단위를 사용하여 표기한다.
이 때, 표기되는 순서는 폴더 이름 1순위, 파일이름 2순위로 나열되며, 경로 내의 폴더에 있는 폴더에 있는 파일조차 모두 표기된다. (전부 표기) - #du -ch (경로) |sort -h |tail -10
해당 경로에 있는 모든 파일과 폴더의 용량을 용량 단위를 사용하여 표기한다.
이 때, 용량이 큰 폴더가 아래로 가게 되며, 해당 경로에서 가장 큰 10개만 아래에서 위로 출력이 된다. - #du -ch (경로) --max-depth=1 |sort -h
해당 경로에 있는 폴더 및 파일을 디렉토리 1 기준(숫자가 높을 수록 많이 표기됨. 간략화는 숫자 낮게. 추천 1)으로 위에서부터 아래로 나열하는 것
(--max-depth 1로 대체 가능) - #du -ch (경로) -mindepth 4 |sort -h
해당 경로에 있는 폴더 및 파일을 최소 디렉토리 4 기준(숫자가 높을 수록 많이 표기됨. 간략화는 숫자 낮게. 추천 1)으로 위에서부터 아래로 나열하는 것 - #du -ch (경로1) (경로2) |awk -F ' ' '{print $2,$1}' |sort -h
해당 경로1, 2에 있는 폴더를 이름 기준으로 나열하고, 2번째 열에 용량 표시 - #du -ckxh | sort -n
해당 경로에 있는 폴더 및 파일을 문자열의 수치 값에 따라 비교합니다. - #find / -type f -exec du -h {} + | sort -h | tail -30
전체 경로에서 용량이 가장 큰 파일 30개 나열한다. - find / -ctime -6 -type d -exec du -ch {} + -mindepth 3 |sort -h
전체 경로의 6일이내 파일 설정 변경된 폴더(생성포함)들을 용량이 큰 순서대로 배열 (최소폴더 3개 이상되는 경우만) - find /app_log/app/dump* -ctime -2 -type d -exec du -ch {} + -mindepth 1 |sort -h
/app_log/app 폴더 내 이름이 dump로 시작하는 폴더에서 2일이내 파일 설정 변경된 폴더(생성포함)들을 용량이 큰 순서대로 배열 (최소폴더 1개이상되는 경우만 - find /app_log/app/test -ctime -6 -type f -size +100M -exec du -ch {} + -mindepth 2 |sort -h
/app_log/app/test 폴더 내 6일이내 파일 설정 변경된 폴더(생성포함)들을 용량이 큰 순서대로 배열 (최소폴더 1개이상되는 경우, 누적용량이 100M 이상인 경우) - #ls -lh
현재 경로의 파일 용량 - Sort 옵션
- du 옵션
- df : 시스템에 마운트된 디스크의 사용 정보
728x90
반응형
SMALL
'서버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linux 서비스 포트 체크 자동 재시작 스크립트 (0) | 2023.03.21 |
---|---|
[Linux] 서비스 재구동 스크립트 (0) | 2023.03.21 |
[리눅스] CentOS 8 외부 Repository 설정하기 (0) | 2023.02.09 |
[리눅스] CentOS8 네트워크 설정 (0) | 2023.02.09 |
[리눅스] 좀비 프로세스 찾기, 죽이기 (0) | 2023.02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