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) 초기 설정
1.1) 시간 및 타임존 설정
-> system timezone kst
-> system time HH:MM:SS
-> show system
1.2) 초기에는 스위치에 IP를 설정하고 telnet으로 접근해도 연결이 되지 않는데,
아래와 같이 인증을 풀어줘야 함.
-> aaa authentication default local
1.3) 설정을 장비를 껏다가 다시 켜도 설정이 살아있게 하려면,
-> write memory
1.4) 장비 reboot
-> reload
2) VLAN 설정
아직 잘 몰라서 그럴 수도 있는데 VLAN 없이 포트 하나만 IP를 지정하는 방법은
없고 상위의 VLAN으로 지정을 해주고 IP를 설정해야 했음.
2.1) VLAN 보기
-> show vlan
2.2) VLAN 생성
-> vlan 99
(번호만 지정하면 된다)
2.3) VLAN 삭제
-> no vlan 99
3) L3 스위치 구성
1~12를 VLAN 100으로 지정하고 20.20.20.1/24 IP 설정
3.1) 설정
-> vlan 200
(VLAN 200번 생성)
-> vlan 200 port default 1/1-12
(1~12 번 포트를 VLAN 100에 할당)
-> ip interface vlan-200 address 20.20.20.1/24 vlan 200
(해당 VLAN에 20.20.20.1/24 주소 할당)
3.2) 확인
(VLAN 목록 확인)
-> show vlan
vlan type admin oper 1x1 flat auth ip ipx tag lrn name
-----+------+------+------+------+------+----+-----+-----+-----+-----+----------
1 std on on on on off on NA off on VLAN 1
99 std on on on on off on NA off on VLAN 99
100 std on off on on off on NA off on VLAN 100
(VLAN 할당 포트 목록 확인)
-> show vlan port
vlan port type status
------+-------+---------+-------------
1 1/13 default inactive
1 1/14 default inactive
1 1/15 default forwarding
1 1/16 default inactive
1 1/17 default inactive
1 1/18 default inactive
1 1/19 default forwarding
1 1/20 default inactive
1 1/21 default inactive
1 1/22 default inactive
1 1/23 default forwarding
1 1/25 default inactive
1 1/26 default inactive
99 1/24 default forwarding
100 1/1 default inactive
100 1/2 default inactive
100 1/3 default inactive
100 1/4 default inactive
100 1/5 default inactive
100 1/6 default inactive
100 1/7 default inactive
100 1/8 default inactive
100 1/9 default inactive
100 1/10 default inactive
100 1/11 default inactive
100 1/12 default inactive
(VLAN 할당 IP 확인)
-> show ip interface
Total 4 interfaces
Name IP Address Subnet Mask Status Forward Device
--------------------+---------------+---------------+------+-------+--------
Loopback 127.0.0.1 255.0.0.0 UP NO Loopback
dhcp-client 0.0.0.0 0.0.0.0 DOWN NO vlan 1
vlan-100 20.20.20.1 255.255.255.0 DOWN NO vlan 100
vlan_99 10.99.99.1 255.0.0.0 UP YES vlan 99
7) Config 파일 관련
-> dir
Listing Directory /flash:
drw 1024 Jul 19 10:38 certified/
-rw 317 Jul 19 10:41 boot.params
drw 1024 Jul 19 10:43 working/
-rw 11 Jul 13 03:36 boot.slot.cfg
-rw 64000 Jul 19 10:52 swlog1.log
-rw 64000 Dec 26 2010 swlog2.log
drw 1024 Dec 26 2010 switch/
drw 1024 Jul 13 03:36 network/
12284928 bytes free
위와 같이 /flash 에는 working cerified 폴더가 있는데,
working에서 작업을 하게 되고, reload 명령어로 reboot을 할 수 있는데,
-> reload
라 하면 certified 디렉터리에서 읽어서 재부팅을 하게되고,
-> reload working no rollback-time
이라 하면 working 디렉터리의 설정값으로 부팅을 합니다.
실제 설정 작업을 하면 이것은 running-config 라는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이고
-> write memory
와 동일한 명령어로
-> copy running-config working
메모리의 설정 내용을 working 폴더에 복사하는 것입니다.
또한,
-> copy working certified
라고 하여 working 폴더에 내용을 certified 폴더로 일치를 시킬 수 있습니다.
-> cd working
에서 dir 명령으로 보면, 부팅 이미지 파일들이 있고 설정파일인 boot.cfg 파일이 있습니다.
-> cp boot.cfg boot_L3.cfg
위의 명령으로 현재 설정을 다른 이름으로 복사해 놓을 수 있습니다.
-> vi boot.cfg
또한 vi 명령도 수행하여 그 내용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.
8) 설정 초기화
-> cd working
-> rm boot.cfg
-> reload working no rollback-timeout
'네트워크 > Alcatel-Lucen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Alcatel-lucent OS6450 패스워드 리커버리 & 공장초기화 (0) | 2024.06.13 |
---|---|
[네트워크] 알카텔 스위치 - 펌웨어 업그레이드 (0) | 2023.05.25 |
[네트워크] 알카텔 스위치- SNMP 설정 (R6 , R8 별로 V1 , 2 , 3 설정) (0) | 2023.04.28 |
[네트워크] 알카텔 스위치 ACL 설정 - 설명 및 예제 Config (0) | 2023.04.28 |